Springboot Log 남기기
우선 Log를 사용하기 전에 무엇인지부터 알아보자.
1. Log란?
사전적 의미로는 It에서 발생되는 모든 행위와 이벤트 정보를 시간에 따라 남겨둔 데이터를 지칭한다.
간단하게 이야기하면, 로그는 일정의 표시이고, 기록입니다. 로그를 통해서 애플리케이션의 상태를 관찰할 수도 있고, 오류가 발생한 부분에 대해서 인지할 수 있습니다. 즉 로직의 흐름, 예외 등등을 파악할 수 있도록 인지하기 할 수 있고, 로그를 통해서 서비스의 품질을 관리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기능이라던지 혹은 사람들이 어떠한 게시물을 열람할 때 로그 남기도록 만들었습니다. 그렇다면 서비스를 제공하는 입장에선 로그라는 데이터를 이용해서 기능을 더 발전시키거나, 사용자의 니즈를 찾아 품질이 높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로그를 남기는 것 또한 비용이 발생하기 때문에 적절한 상황, 적절한 로그를 작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적절한 상황이라는 것은 애플리케이션이 어떠한 행동을 하는지에 초점을 맞춘다면,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로그 작성하는 법은 사람에 따라 다릅니다. 하지만 안 좋은 예와 좋은 예는 명확합니다. 하나씩 알아보겠습니다.
1-1. 좋지 않은 로그
try{
// 중략
}catch (Exception e){
log.error("{}",e.getClass());
// 중략
}
로직에서 예외가 발생했을 때 로그를 기록하는 것은 좋습니다. 하지만 로그라는 것은 애플리케이션의 상태를 관찰하는 것이라고 위에서 살펴봤습니다. 위와 같이 단순히 예외가 발생했을 때 예외만 출력한다면 어떠한 예외가 왜 발생했는지 알 수 없습니다. 물론 코드의 양이 적고, 자신이 작성한 코드라면 알 수도 있습니다. 대부분의 상황이 그렇지 않기 때문에 로그는 누가 봐도 의미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1-2. 위보다는 좋은 로그
try{
}catch (Exception e){
log.error("userId={},uri ={}, method = {}, parameter={}, time={}, errorMessage={}",
userId,uri,method,parameter,time,e.getMessage());
}
1-1에서 살펴본 로그와는 다르게 많은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누가, 어떤 경로로, 호출한 메서드와 파라미터, 언제, 발생한 이유 같이 상세하게 로그를 남긴다면, 로그의 의미를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2. Springboot 로그 사용
로그란 무엇인지 로그를 왜 사용하는지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이제는 Springboot에서 로그를 남기는 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이전에는 log4j라는 것을 사용해서 로그를 남겼습니다. 하지만 개발이 중단됐고, 성능이 더 좋은 logback이 등장해 저희는 이것을 사용합니다.
2-1. logback이란?
자바의 오픈소스 로깅 프레임워크입니다. 앞으로 저희가 사용할 Slf4j의 구현체입니다.
Springboot에서는 spring-boot-starter-logging안에 기본적으로 포함되어 있어서 따로 dependency를 추가하지 않고 사용 가능합니다.
2-2. 로그 사용
로그를 선언하고, 사용하는 방법에는 2가지가 있습니다.
1. 로그를 사용할 클래스 위에 @Slf4j 붙이기(Lombok을 사용해야 합니다.)
@Slf4j
public class Log {
}
2. LoggerFactory에서 직접 가져오기
private static final Logger log = LoggerFactory.getLogger(Log.class);
2-3. Springboot 로그 설정
1. resourece 디렉터리 밑에 logback-spring.xml을 읽고, 로그를 만듭니다.
2. 위의 logback-spring.xml이 없다면,. yml파일 혹은. properties 파일을 읽고, 로그를 만듭니다.
3. 만약 두 개 다 있다면,. yml파일 먼저 읽고, logback-spring.xml 파일에서 추가되는 부분을 사용합니다.
저희는. yml 파일로 작성할 예정이며, profile을 나눔으로써 환경에 따라 다른 로그를 찍을 수도 있습니다.
2-4. 로그 레벨
총 5가지의 레벨이 있습니다. 왼쪽이 가장 낮은 레벨이고, 오른쪽이 가장 높은 레벨입니다.
TRACE < DEBUG < INFO < WARN < ERROR
1) ERROR : 요청을 처리하는 중 오류가 발생한 경우 표시한다.
2) WARN : 처리 가능한 문제, 향후 시스템 에러의 원인이 될 수 있는 경고성 메시지를 나타낸다.
3) INFO : 상태 변경과 같은 정보성 로그를 표시한다.
4) DEBUG : 프로그램을 디버깅하기 위한 정보를 표시한다.
5) TRACE : 추적 레벨은 Debug보다 훨씬 상세한 정보를 나타낸다.
만약 log 레벨을 INFO로 설정했다면, INFO부터 ~ERROR까지 자신보다 높은 로그까지 찍게 됩니다.
ex) DEBUG로 설정할 시 DEBUG~ERROR까지 로그를 남기고, TRACE는 로그를 남기지 않습니다.
logging:
level:
org.hibernate.SQL: debug
2-5. 로그 범위 지정
위에서 살펴본 로그는 하이버네이트가 SQL을 실행할 때 DEBUG보다 높은 로그들을 남기는 것입니다. 따라서 전체 혹은 패키지 별로 로그를 남기도록 할 수 있습니다. 아래와 같이 전체 부분에 대해서 warn위는 반드시 로그를 남기도록 할 수 있고, com.example.log에 해당하는 패키지는 debug부터 남길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logging:
level:
root: warn
com.example.log: debug
3. application.yml로 로그 적용
위에서 잠시 살펴본 것이 application.yml로 log를 적용한 것입니다. 각각 설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각 설명은 주석으로 남기겠습니다.
logging:
level: # 적용할 곳과 레벨을 지정합니다.
root: warn
com.example.log: debug
file: # 로그 파일에 대한 명시입니다. 주의점 name과 path중 하나만 사용해야합니다. path 사용을 권장합니다.
name: # 로그 파일의 이름
path: # 로그 파일의 위치 절대 경로를 적어주시면 됩니다.
logback:
rollingpolicy:
file-name-pattern: # 로그 파일의 이름을 설정하는 패턴입니다. 파일명+날짜와 같이 지정할 수 있습니다.
clean-history-on-start: # 애플리케이션 재실행시 로그 파일을 초기화 여부 설정
max-file-size: # 로그 파일의 최대 크기이며, 크기가 넘어가면 새로운 로그파일 작성
max-history: # 로그 파일의 최대 수
total-size-cap: # 로그 파일의 총 크기이며, 넘어갈 시 가장 오래된 로그 파일 삭제
pattern:
console: # 콘솔 창에 출력될 로그의 패턴
level: # 출력 로그 레벨 지정
file: # 로그 파일에 사용될 로그 패턴
dateformat: # 로그의 date에 대한 디폴트 설정
4. logback-spring.xml 로그 적용
logback-spring.xml 참조: https://goddaehee.tistory.com/206
<?xml version="1.0" encoding="UTF-8"?>
<!-- 60초마다 설정 파일의 변경을 확인 하여 변경시 갱신 -->
<configuration scan="true" scanPeriod="60 seconds">
<!--springProfile 태그를 사용하면 logback 설정파일에서 복수개의 프로파일을 설정할 수 있다.-->
<springProfile name="local">
<property resource="logback-local.properties"/>
</springProfile>
<springProfile name="dev">
<property resource="logback-dev.properties"/>
</springProfile>
<!--Environment 내의 프로퍼티들을 개별적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springProperty scope="context" name="LOG_LEVEL" source="logging.level.root"/>
<!-- log file path -->
<property name="LOG_PATH" value="${log.config.path}"/>
<!-- log file name -->
<property name="LOG_FILE_NAME" value="${log.config.filename}"/>
<!-- err log file name -->
<property name="ERR_LOG_FILE_NAME" value="err_log"/>
<!-- pattern -->
<property name="LOG_PATTERN" value="%-5level %d{yy-MM-dd HH:mm:ss}[%thread] [%logger{0}:%line] - %msg%n"/>
<!-- Console Appender -->
<appender name="CONSOLE" class="ch.qos.logback.core.ConsoleAppender">
<encoder class="ch.qos.logback.classic.encoder.PatternLayoutEncoder">
<pattern>${LOG_PATTERN}</pattern>
</encoder>
</appender>
<!-- File Appender -->
<appender name="FILE" class="ch.qos.logback.core.rolling.RollingFileAppender">
<!-- 파일경로 설정 -->
<file>${LOG_PATH}/${LOG_FILE_NAME}.log</file>
<!-- 출력패턴 설정-->
<encoder class="ch.qos.logback.classic.encoder.PatternLayoutEncoder">
<pattern>${LOG_PATTERN}</pattern>
</encoder>
<!-- Rolling 정책 -->
<rollingPolicy class="ch.qos.logback.core.rolling.TimeBasedRollingPolicy">
<!-- .gz,.zip 등을 넣으면 자동 일자별 로그파일 압축 -->
<fileNamePattern>${LOG_PATH}/${LOG_FILE_NAME}.%d{yyyy-MM-dd}_%i.log</fileNamePattern>
<timeBasedFileNamingAndTriggeringPolicy class="ch.qos.logback.core.rolling.SizeAndTimeBasedFNATP">
<!-- 파일당 최고 용량 kb, mb, gb -->
<maxFileSize>10MB</maxFileSize>
</timeBasedFileNamingAndTriggeringPolicy>
<!-- 일자별 로그파일 최대 보관주기(~일), 해당 설정일 이상된 파일은 자동으로 제거-->
<maxHistory>30</maxHistory>
<!--<MinIndex>1</MinIndex>
<MaxIndex>10</MaxIndex>-->
</rollingPolicy>
</appender>
<!-- 에러의 경우 파일에 로그 처리 -->
<appender name="Error" class="ch.qos.logback.core.rolling.RollingFileAppender">
<filter class="ch.qos.logback.classic.filter.LevelFilter">
<level>error</level>
<onMatch>ACCEPT</onMatch>
<onMismatch>DENY</onMismatch>
</filter>
<file>${LOG_PATH}/${ERR_LOG_FILE_NAME}.log</file>
<encoder class="ch.qos.logback.classic.encoder.PatternLayoutEncoder">
<pattern>${LOG_PATTERN}</pattern>
</encoder>
<!-- Rolling 정책 -->
<rollingPolicy class="ch.qos.logback.core.rolling.TimeBasedRollingPolicy">
<!-- .gz,.zip 등을 넣으면 자동 일자별 로그파일 압축 -->
<fileNamePattern>${LOG_PATH}/${ERR_LOG_FILE_NAME}.%d{yyyy-MM-dd}_%i.log</fileNamePattern>
<timeBasedFileNamingAndTriggeringPolicy class="ch.qos.logback.core.rolling.SizeAndTimeBasedFNATP">
<!-- 파일당 최고 용량 kb, mb, gb -->
<maxFileSize>10MB</maxFileSize>
</timeBasedFileNamingAndTriggeringPolicy>
<!-- 일자별 로그파일 최대 보관주기(~일), 해당 설정일 이상된 파일은 자동으로 제거-->
<maxHistory>60</maxHistory>
</rollingPolicy>
</appender>
<!-- root레벨 설정 -->
<root level="${LOG_LEVEL}">
<appender-ref ref="CONSOLE"/>
<appender-ref ref="FILE"/>
<appender-ref ref="Error"/>
</root>
<!-- 특정패키지 로깅레벨 설정 -->
<logger name="org.apache.ibatis" level="DEBUG" additivity="false">
<appender-ref ref="CONSOLE"/>
<appender-ref ref="FILE"/>
<appender-ref ref="Error"/>
</logger>
</configuration>
5. yml과 logback-spring.xml비교
logback-spring.xml과 다르게 yml로 작성 시 매우 간단하고 쉽게 작성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문제점이 있습니다. yml로 작성 시 로그 레벨별로 같은 세부 적인 설정 못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간단한 설정은 yml로 작성하고, 로그 레벨별로 나누는 것과 같은 설정은 logback-spring.xml로 작성하면 되겠습니다.
'SpringBoot'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boot 모니터링 사용기[2] Prometheus, Grafana (0) | 2022.06.14 |
---|---|
Springboot 모니터링 사용기[1] actuator (0) | 2022.06.12 |
Springboot restdocs 적용기[2] 실전 사용 (0) | 2022.06.07 |
Springboot restdocs 적용기[1] gradle 7.x (0) | 2022.06.04 |
SpringBoot [스프링부트] 시작하기(11) League 내부 로직 만들기 (0) | 2022.01.18 |
댓글
이 글 공유하기
다른 글
-
Springboot 모니터링 사용기[1] actuator
Springboot 모니터링 사용기[1] actuator
2022.06.12 -
Springboot restdocs 적용기[2] 실전 사용
Springboot restdocs 적용기[2] 실전 사용
2022.06.07 -
Springboot restdocs 적용기[1] gradle 7.x
Springboot restdocs 적용기[1] gradle 7.x
2022.06.04 -
SpringBoot [스프링부트] 시작하기(11) League 내부 로직 만들기
SpringBoot [스프링부트] 시작하기(11) League 내부 로직 만들기
2022.0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