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준 1766 [자바] java 문제집
문제 링크: https://www.acmicpc.net/problem/1766
1766번: 문제집
첫째 줄에 문제의 수 N(1 ≤ N ≤ 32,000)과 먼저 푸는 것이 좋은 문제에 대한 정보의 개수 M(1 ≤ M ≤ 100,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M개의 줄에 걸쳐 두 정수의 순서쌍 A,B가 빈칸을 사이에 두고 주
www.acmicpc.net
▶문제
민오는 1번부터 N번까지 총 N개의 문제로 되어 있는 문제집을 풀려고 한다. 문제는 난이도 순서로 출제되어 있다. 즉 1번 문제가 가장 쉬운 문제이고 N번 문제가 가장 어려운 문제가 된다.
어떤 문제부터 풀까 고민하면서 문제를 훑어보던 민오는, 몇몇 문제들 사이에는 '먼저 푸는 것이 좋은 문제'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예를 들어 1번 문제를 풀고 나면 4번 문제가 쉽게 풀린다거나 하는 식이다. 민오는 다음의 세 가지 조건에 따라 문제를 풀 순서를 정하기로 하였다.
- N개의 문제는 모두 풀어야 한다.
- 먼저 푸는 것이 좋은 문제가 있는 문제는, 먼저 푸는 것이 좋은 문제를 반드시 먼저 풀어야 한다.
- 가능하면 쉬운 문제부터 풀어야 한다.
예를 들어서 네 개의 문제가 있다고 하자. 4번 문제는 2번 문제보다 먼저 푸는 것이 좋고, 3번 문제는 1번 문제보다 먼저 푸는 것이 좋다고 하자. 만일 4-3-2-1의 순서로 문제를 풀게 되면 조건 1과 조건 2를 만족한다. 하지만 조건 3을 만족하지 않는다. 4보다 3을 충분히 먼저 풀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조건 3을 만족하는 문제를 풀 순서는 3-1-4-2가 된다.
문제의 개수와 먼저 푸는 것이 좋은 문제에 대한 정보가 주어졌을 때, 주어진 조건을 만족하면서 민오가 풀 문제의 순서를 결정해 주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문제의 수 N(1 ≤ N ≤ 32,000)과 먼저 푸는 것이 좋은 문제에 대한 정보의 개수 M(1 ≤ M ≤ 100,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M개의 줄에 걸쳐 두 정수의 순서쌍 A, B가 빈칸을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 이는 A번 문제는 B번 문제보다 먼저 푸는 것이 좋다는 의미이다.
항상 문제를 모두 풀 수 있는 경우만 입력으로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에 문제 번호를 나타내는 1 이상 N 이하의 정수들을 민오가 풀어야 하는 순서대로 빈칸을 사이에 두고 출력한다.
▶해설
- N개의 문제는 모두 풀어야 한다.
- 먼저 푸는 것이 좋은 문제가 있는 문제는, 먼저 푸는 것이 좋은 문제를 반드시 먼저 풀어야 한다.
위 조건 2개만 주어졌다면, 순서가 없는 위상정렬입니다. 하지만 아래의 조건으로 순서가 생겼습니다.
3. 가능하면 쉬운 문제부터 풀어야 한다.
쉬운문제 먼저 푼 뒤 조건들을 만족하는 문제들을 풀어야 합니다. 예제를 보겠습니다.
4 2
4 2
3 1
2번을 풀기 위해선 4번을 반드시 먼저 풀어야합니다.
1번을 풀기 위해선 3번을 반드시 먼저 풀어야 합니다.
이때 1,2번은 조건이 있는 문제들입니다.
반면에 3,4번은 조건은 없습니다. 하지만 가능한 쉬운 문제부터 풀어야 한다는 조건에 속하게 됩니다. 따라서 3번을 먼저 풀어야 합니다.
일반적인 위상 정렬 + PriorityQueue를 이용하면 간단합니다.
조건을 가리키는 List [] 배열과 조건의 개수를 담을 dig 배열이 필요합니다.
for(int i=0; i<m; i++){ String[] s1 = br.readLine().split(" "); start = Integer.parseInt(s1[0]); end = Integer.parseInt(s1[1]); lists[start].add(end); dig[end]++; }
lists [선행 문제]. add(후행 문제)를 해주어 조건을 가리킵니다.
dig [후행 문제]++ 를 통하여 조건의 개수를 파악합니다.
PriorityQueue<Integer> queue =new PriorityQueue<>(); for(int i=1; i<=n; i++){ if(dig[i]==0){ queue.add(i); } }
조건이 없는 문제들 중에서 난이도가 낮아 먼저 풀어야 할 것들이 PriorityQueue에 넣어주어 정렬해줍니다.
while (!queue.isEmpty()){ Integer poll = queue.poll(); sb.append(poll).append(" "); for(Integer now: lists[poll]) { dig[now]--; if (dig[now] == 0) { queue.add(now); } } }
난이도가 낮은 것들부터 시작해서 자신을 조건으로 취급하는 문제들에 dig를 낮춰주며, 0일 때 queue에 넣어줍니다.
그렇다면 queue가 돌면서 StringBuilder인 sb에 차례로 넣어줍니다.
▶전체 코드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 public class Main { static int n,m; static int []dig; static List<Integer> [] lists;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 []s= br.readLine().split(" "); n = Integer.parseInt(s[0]); m = Integer.parseInt(s[1]); lists = new ArrayList[n+1]; dig = new int[n+1]; int start; int end; for(int i=1; i<=n; i++){ lists[i] = new ArrayList<>(); dig[i] = 0; } for(int i=0; i<m; i++){ String[] s1 = br.readLine().split(" "); start = Integer.parseInt(s1[0]); end = Integer.parseInt(s1[1]); lists[start].add(end); dig[end]++; } String result = solve(); System.out.println(result); } private static String solve(){ StringBuilder sb = new StringBuilder(); PriorityQueue<Integer> queue =new PriorityQueue<>(); for(int i=1; i<=n; i++){ if(dig[i]==0){ queue.add(i); } } while (!queue.isEmpty()){ Integer poll = queue.poll(); sb.append(poll).append(" "); for(Integer now: lists[poll]) { dig[now]--; if (dig[now] == 0) { queue.add(now); } } } return sb.toString(); } }

'Alogorithm > 위상정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1516[자바] java 게임 개발 (0) | 2022.05.22 |
---|---|
백준 1005 [자바] java ACM Craft (0) | 2022.01.09 |
백준 JAVA 2252번 줄세우기 (0) | 2021.12.18 |
백준 JAVA 14567번 선수과목 (0) | 2021.12.18 |
댓글
이 글 공유하기
다른 글
-
백준 1516[자바] java 게임 개발
백준 1516[자바] java 게임 개발
2022.05.22문제 링크: https://www.acmicpc.net/problem/1516 1516번: 게임 개발 첫째 줄에 건물의 종류 수 N(1 ≤ N ≤ 500)이 주어진다. 다음 N개의 줄에는 각 건물을 짓는데 걸리는 시간과 그 건물을 짓기 위해 먼저 지어져야 하는 건물들의 번호가 주어진다. 건물의 번호는 1부 www.acmicpc.net ▶문제 숌 회사에서 이번에 새로운 전략 시뮬레이션 게임 세준 크래프트를 개발하기로 하였다. 핵심적인 부분은 개발이 끝난 상태고, 종족별 균형과 전체 게임 시간 등을 조절하는 부분만 남아 있었다. 게임 플레이에 들어가는 시간은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모든 건물을 짓는 데 걸리는 최소의 시간을 이용하여 근사하기로 하였다. 물론, 어떤 건물을 짓기 위해서 다른 건물을… -
백준 1005 [자바] java ACM Craft
백준 1005 [자바] java ACM Craft
2022.01.09문제 링크:https://www.acmicpc.net/problem/1005 1005번: ACM Craft 첫째 줄에는 테스트케이스의 개수 T가 주어진다. 각 테스트 케이스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첫째 줄에 건물의 개수 N과 건물간의 건설순서 규칙의 총 개수 K이 주어진다. (건물의 번호는 1번부 www.acmicpc.net ▶문제 서기 2012년! 드디어 2년간 수많은 국민들을 기다리게 한 게임 ACM Craft (Association of Construction Manager Craft)가 발매되었다. 이 게임은 지금까지 나온 게임들과는 다르게 ACM크래프트는 다이나믹한 게임 진행을 위해 건물을 짓는 순서가 정해져 있지 않다. 즉, 첫 번째 게임과 두 번째 게임이 건물을 짓는 순서가 다를 수도 있다… -
백준 JAVA 2252번 줄세우기
백준 JAVA 2252번 줄세우기
2021.12.18문제 링크: https://www.acmicpc.net/problem/2252 2252번: 줄 세우기 첫째 줄에 N(1 ≤ N ≤ 32,000), M(1 ≤ M ≤ 100,000)이 주어진다. M은 키를 비교한 회수이다. 다음 M개의 줄에는 키를 비교한 두 학생의 번호 A, B가 주어진다. 이는 학생 A가 학생 B의 앞에 서야 한다는 의 www.acmicpc.net 키를 정렬하는데 있어서 약간의 순서를 줬다. 즉 어떤 학생 앞에는 정해진 학생이 앞에 있어야 하는 것이다. arr배열에 조건의 수를 적어주고 list[해당 학생].add(앞에 서야하는 학생)식으로 선언해준다. arr[학생]==0 일 경우에 StringBuilder에 추가해주며 해당 학생 앞에 서야하는 학생의 arr을 낮춰준다. 이때 낮춰준 학… -
백준 JAVA 14567번 선수과목
백준 JAVA 14567번 선수과목
2021.12.18문제 링크: https://www.acmicpc.net/problem/14567 14567번: 선수과목 (Prerequisite) 3개의 과목이 있고, 2번 과목을 이수하기 위해서는 1번 과목을 이수해야 하고, 3번 과목을 이수하기 위해서는 2번 과목을 이수해야 한다. www.acmicpc.net 원하는 과목을 듣기 위해선 선수 과목을 들어야 하는 문제이다. 즉 조건을 체크하면서 순서를 체크하는 문제이다. 순서대로 입력이 주어지므로 반복문을 통해서 첫 번째 강의부터 마지막 강의까지 조건들을 체크해주면 된다. 한 과목마다 조건의 최댓 값을 찾은 후 +1 해주면 해당 과목을 들을 수 있는 학기가 나온다. 과목마다 들을 수 있는 학기를 arr 배열에 담고 list[해당과목].add(조건)을 정리하여 찾으면 간…
댓글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